건축 및 토목 구조물에서 방수는 수분 침투를 방지하여 구조물의 수명을 연장하고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오늘은 건축물의 필수인 방수재료에 대해 글을 써보겠습니다.
01. 우레탄도막방수
고무와 유사한 성질을 가진 방수 재료로, 뛰어난 탄성과 신축성을 지녀 구조물의 미세한 움직임이나 균열에도 잘 견딥니다. 도막 형태로 시공되어 복잡한 형상에도 적용이 용이하며, 주로 옥상이나 베란다 등에 사용됩니다. 노출과 비노출 방식이 있으며, 그에 따른 장단점이 있습니다.
비노출방수 : 바탕면 정리 → 우레탄 프라이머 도포 → 우레탄1차 도포 → 우레탄2차 도포 → 보호층 시공(보호몰탈 위 무근콘크리트)
장점은 외부요인으로 방수가 깨지지는 않으나, 시공과정에서 하자가 생기면 원인을 찾아내기 어렵다. 다 뒤집어봐야 알 수 있다.
노출방수 : 바탕면 정리 → 우레탄 프라이머 도포 → 우레탄1차 도포 → 우레탄2차 도포 → 탑코트 도포(초록색옥상)
외부요인에 의하여 하자가 발생하는 요인이 있음. 노출방수위에 페데스탈을 깔거나, 자갈을 깔아 방수층을 보호하는 방식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02. 시트방수
방수 기능이 있는 시트를 접착 또는 용접하여 시공하는 방식으로, 시공 속도가 빠르고 일정한 두께의 품질 확보가 용이합니다. 단, 이음부 처리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03. pe필름
폴리에틸렌(PE) 소재의 방수 필름으로, 주로 간단한 수분 차단 용도로 사용됩니다. 방수 성능 자체는 다른 방식에 비해 낮지만, 비용이 저렴하고 시공이 쉬워 보조용이나 임시 방수 용도로 활용됩니다. 보통 기초를 깔기전에 골재를 깔아 습을 1차로 막고, 그 위에 pe필름을 깔아서 땅으로부터 올라오는 습을 2차로 막습니다.
04. 시멘트 액체방수
액체 형태의 방수제를 바르거나 뿌려서 시공하는 방식으로, 도막 방수와 유사합니다. 복잡한 부위에도 잘 밀착되며 균열 추종성이 좋은 것이 장점입니다.
05. FRP방수(섬유유리보강재)
유리섬유와 수지를 혼합해 만드는 방수 방식으로, 내화학성 및 내마모성이 뛰어나 수영장, 옥상, 화장실 등에서 사용됩니다. 견고하지만 시공이 복잡하고 위험한편이라 비용이 높은 편입니다.
06. 침투성 방수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는 성질을 가진 재료를 사용해 미세한 기공을 채워 수분 침투를 막는 방식입니다. 주로 지하 구조물이나 콘크리트 표면의 방수 보강용으로 사용되며, 표면에 변화가 없어 미관 유지에 유리합니다.
07. 고무 아스팔트 방수
아스팔트에 고무 성분을 혼합하여 탄성과 방수성을 동시에 확보한 재료입니다. 열을 가해 녹인 후 도포하거나 시트 형태로 시공하며, 내구성과 접착력이 뛰어나 지하 구조물, 옥상 등에 사용됩니다.
08. 구체방수
미리 레미콘차에 믹스하여 콘크리트 타설 시 방수 성능을 가진 혼화제를 함께 사용하여 구조체 자체에 방수성을 부여하는 방식입니다. 별도의 외부 방수층 없이 일체화된 구조를 만들 수 있지만, 시공 품질에 따라 성능 차이가 클 수 있음에 주의해야 합니다. 수압을 받는곳 주로 교량, 터널, 원자력발전소에 쓰입니다.
09. 발수제
수분이 표면에 스며들지 않고 물방울처럼 튕겨져 나가도록 하는 재료로, 주로 석재, 벽돌, 콘크리트 외벽 등 노출 마감재의 표면 처리에 사용됩니다. 방수보다는 발수 성능에 집중되어 있어 보조 방수 용도로 사용됩니다.
'건축 > 건축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료 설명_창문 종류에 대해 (2) | 2025.03.24 |
---|---|
재료 설명_석고보드, CRC보드, 합판의 종류에 대해 (2) | 2025.02.22 |
외부도어 설명_세이프도어, 시스템도어 (0) | 2024.12.10 |
재료 설명_페데스탈 (0) | 2024.05.08 |
재료 설명_지수판 (0) | 2024.04.19 |